★기네스 북에 오른 조선시대 인물들★
7개 국어에 능통했던 신숙주 |
보통 4-5개의 국어에 능통한 사람을 보고도 천재라고 극찬을 한다. |
그런데 한사람이 7개국를 할 수 있다면 어떻게 평가해야 할까. 바로 조선조에 영의정을 지낸 |
범옹 신숙주가 주인공이다. |
정치적인 얘기는 접어두고 학자적으로만 평가한다면 그는 뛰어난 언어학자였으며 한국최초의 |
일본관련책 해동제국기를 저술하는등 어문학에 많은 족적을 남겼다. |
그는 특히 설총의 이두문자는 물론 중국어, 몽고어, 여진어, 일본어, 등에 능통했으며 |
인도어, 아라비아어, 까지도 터득했다고 한다. |
명문가답게, 일제하 독립투쟁의 주역들인 단재 신채호, 신규식 선생 등이 그의 후손들이다. |
-----------------------------------------------------------------------
76세에 처음 장가들고 99세까지 장수한홍
홍유손 |
조선시대 하면 사내아이는 보통 10세를 넘으면 장가를 가게 되는데, 무려 76세의 죽을 나이에 |
첫장가를 가고 아이를 얻었다는 기록이 있다. |
장본인은 홍유손.그는 소위 죽림칠현으로 속세를 떠난 청담파를 자처하는 인물이다. |
76세에 장가를 들어 아들 지성을 낳고 99세까지 살다간 조선시대 기인중의 한명이다. |
같은 죽림칠현이자 생육신 이었던 남효온은 그를 평해 [글은 칠원같고 시는 산곡을 누빈다] |
고 하였다. |
그는 거의 기인에 가까웠으며 특히 세조가 정권을 잡은후 김시습, 남효온, 등과 어울리면서 |
세상을 비관하고 냉소로 일관하면서 풍자적인 인생을 살았다. |
99세의 천수를 누린 그는 역사 인물사전에 나오는 최장수 인물이 되고있다. |
----------------------------------------------------------------------
왕의 얼굴한번 보지도 않고 정승에 오른 윤 증
|
그는 과거에 급제하지 않았다. |
우암 송시열의 제자로 당쟁의 한축이었으며 재야의 막후실력자 소론의 영수 였다. |
윤증은 왕의 얼굴한번 보지 않고 우의정 까지 올랐던 우리나라 역사상단한명밖에 없는 |
인물이었다. 그가 과거에도 응시하지 않았는데 그가 받았던 관직을 보면 36세때 내시교관부터 |
공조정랑, 사헌부 지평, 호조참의, 대사헌, 우찬성, 좌찬성, 83세때 판돈녕부사까지 계속 관작이 |
승진되면서 제수 받았으나 모두 사양하였다. |
어쨌든 그는 출사하지도 않은채 재야에서 일정한 세력을 등에 업고 막강한 영향력을행사하면서 |
한번도 조정에 나가지 않고 왕의 얼굴도 보지 않으며 정승이되는 진기록을 남겼다 |
-----------------------------------------------------------------------
조선왕조 역대 왕들의 기록
|
1] 32년간 세자로 있었던 임금은 순종 |
조선 마지막 왕인 순종 임금은 2세때에 세자로 책봉되어 32년간을 세자신분으로 지냈다. |
2] 죽어서 왕이 된 인물은 |
조선조에는 죽은후에 왕으로 추존된 인물이 다섯명인데 |
* 덕종은 세조[수양대군]의 아들로서 세조1년에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즉위전에 죽었다 |
인수대비의 남편이며 슬하에는 월산대군과 성종, 명숙공주 등 3명을 두었다. |
* 원종은 선조의 5남으로 1627년에 왕으로 추존됨. 인조 등 4남을 둠. |
* 진종은 영조의 아들로 사도세자와 4촌. 6세에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즉위전에 죽었다. |
양자인 정조가 즉위하자 진종으로 추존. |
* 장조는 유명한 사도세자로서 영조의 둘째아들이며 정조의 아버지. |
부인은 홍봉한의 딸인 혜경궁 홍씨. |
당파싸움의 희생양이 되어 아버지 영조에 의해 죽음. 1899년 장조로 추존됨. |
* 익종은 순조의 아들이며 헌종의 아버지. |
4세에 세자로 책봉되고 19세때[순조27년]대리청정으로 참정하였으나 4년만에 죽고 |
뒤에 익종으로 추존됨. |
3] 가장 많은 아들을 둔 왕은? |
세종대왕이 18명으로 가장많고, 다음이 성종 16명, 2대정종이 15명 순이다. |
딸은 태종[이방원]이 17명이며, 성종이 12명, 중종과 선조가 11명 이었다. |
4] 왕비를 가장많이 배출한 가문은? |
*청주한씨가 1위[태조비:신의왕후],[덕종비:소혜왕후],[예종비:장순왕후],[성종비:공혜왕후] |
[예종비:안순왕후], [인조비:인열왕후]로 가장많고 |
* 파평윤씨와 여흥민씨가 4명, 청송심씨와 안동김씨가 3명이다. |
5] 왕비중 가장 자식을 많이 낳은 왕비는? |
* 세종대왕비 소헌왕후 심씨는 8남2녀를 낳았다. |
성종의 제9비 숙의홍씨도 7남3녀로 공동1위이다. |
6] 가장 짧은기간 재위한 임금은 |
12대 인종이며 재임기간 9개월이었다. |
7] 가장 오랫동안 재위한 임금은 |
21대 영조로서 51년 7개월로서 반세기동안 왕좌를 지켰다. |
8] 가장 단명한 임금은 : [단종애사의 주인공 6대 단종으로서 17세에 사약을받고 죽음] |
9] 가장 장수한 임금은 : [21대 영조로서 83세까지 장수했다] |
10] 가장 많은 부인을 둔 임금은 |
3대태종과 9대성종으로서 12명의 부인을 두었으며, 세종대왕은 6명이었다 |
----------------------------------------------------------------------
아홉번 과거시험에 모두 장원급제한 한국사의 천재
이율곡 |
한국의 역사상 현인의 경지에 근접한 인물을 꼽으라면 관점의 차이는 있겠지만 율곡 이이 선생을 |
꼽는데 누구도 주저하지는 않을것이다. |
잘 알려진바와 같이 율곡 선생은 9번 과거시험에 모두 장원급제 한 인물이다. |
우리역사상 전무후무한 일이며 또한 예언자적 능력도 뛰어나 임진왜란을 미리 예견하고 |
10만 양병설을 주장했으며 정치, 경제, 국방 등 모든 분야에 식견이 탁월한 정치가요,사상가이며 |
교육자였으며, 철학자였다. |
그의 가문은 또 유명한 신사임당을 어머니로 둔 뿌리깊은 천재가문의 집안이었으며 |
한국판 제갈공명, 한국정신사의 큰 산맥, 성리학의 대가, 등 여러 가지 수식어가 따라다녔다. |
그러나 천재는 단명이라고 했던가 그는 타고난 건강이 좋지 않아 49세의 나이로 세상을 마감했다. |
----------------------------------------------------------------------
각종 최장기 기록들
|
1] 가장 오랫동안 벼슬에 있었던 인물은 ? |
조선말엽의 정원용 으로서 20세에 급제하여 마지막 영의정을 지낼 때까지 72년간을 관직에 |
있었으며 그는 지극히 검소하여 청백리에 올라있기도 하다. |
2] 호조판서를 최장기간 지냈던 인물은? |
영의정 정태화의 후손인 정홍순으로 무려 11년간을 호조판서로 재임한 유일무이한 인물. |
그는 재정문제에 대한 당대 제일인자의 명성을 날렸다. |
3] 벼슬의 꽃인 홍문관 대제학을 최장기간 역임한 인물은? |
당대의 대문장가 서거정[달성서씨]로 23년간을 재임했다. |
4] 가장 여러대의 임금을 보좌한 사람은? |
태종, 세종, 문종, 단종, 세조, 예종, 성종,까지 7대의 임금을 보좌한 김세민[경주김씨]으로 |
70년동안 봉직하면서 7대의 임금을 보좌하는 대기록을 남겼다. |
5] 조선시대 역사 인물중 가장 장수한 인물은? |
여중추부사 권황[안동]과 죽림칠현의 한사람인 홍유손으로 모두 99세까지 살았다. |
6] 가장 귀양살이를 오래한 사람은 누구일까? |
다산 정약용으로 28세때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랐으나 종교문제로 19년간 강진에 유배됨. |
7] 예조판서에 최장기간 봉직한 사람은? |
범옹 신숙주로 무려 15년간 예조판서에 재임하는 기록을 남겼다. |
그는 뛰어난 어문학자로서 7개국어에 능통했으며 외교문서는 거의 신숙주의 손을 거쳤다. |
8] 일인지하 만인지상인 영의정에 가장 오래 재임한 인물은? |
유명한 재상 황희정승으로 지속적으로 18년간을 재임하는 대기록을 남겼다 |
그는 조선 제일의 청백리 관료이자 가장 대표적인 신하이다. |
-----------------------------------------------------------------------
조선왕조 최다수의 기록들
|
1] 영의정을 가장 여러번 지낸 인물은? |
최석정[전주최씨]으로 서 56세에 영의정이 된후 8번을 지냈다. 그는 소론의 영수이었다. |
2] 이조판서를 가장 많이 역임한 사람은? |
42세에 이조판서가 된 박종덕[반남박씨]으로서 무려 18번이나 이조판서에 올랐다. |
관료들의 인사권을 쥐고 있는 관직으로서 임금의 절대적인 신임이 있어야 하는만큼 그는 |
공평한 인사에 최선을 다한 인물이다. |
3] 당시 수도의 총책임자인 한성판윤[서울시장]을 최다 역임한 인물은? |
이가우[연안이씨]로서 34세에 급제한후 열번을 한성판윤에 올랐다. |
4] 판서[장관]직을 통털어 가장 많이 지낸 인물은? |
박종래로서 이조, 예조, 병조, 형조, 공조 등 5조판서를 돌아가며 총 15회 지냈다. |
5] 사법기관의 장이었던 사헌부 수장을 최다 지냈던 인물은? |
13년간 해마다 대사헌에 임명된 권상하[안동권씨]이며 송시열의 수제자이다. |
6] 책을 가장 많이 저술한 인물은 누구일까? |
지봉유설의 저자 이민구[전주이씨] 24세에 장원급제한 사람으로서 문장이 뛰어나고 |
저술을 좋아해서 무려 4000여권의 책을 저술하였다. |
7] 선비의 표상이자 관리들의 자존심인 호를 가장 많이 가지고 있는 인물은? |
유명한 추사체의 창시자 김정희. 그는 약 200개의 호를 지어썼다. 완당,추사,노과,등등... |
8] 임금에게 벼슬을 그만두겠다고하는 사직상소를 가장많이 올린 사람은? |
영의정이었던 정태화는 37번이나 사직상소[사직서]를 올려 전무후무한 기록을 가지고 있다. |
----------------------------------------------------------------------
조선왕조 최연소 기록들
|
1] 조선시대 통털어 최연소로 과거에 급제한 사람은? |
15세의 이건창으로 1866년[고종3] 강화도 별시문과에 합격했다.[김종서는 16세에 합격] |
2] 최연소 장원급제자는 ? |
17세의 박호[밀양박씨]는 1584년[선조17] 친시문과에 장원급제했다 [임진왜란때 전사] |
3] 무과출신 급제자중 최연소 인물은? |
17세의 남이[의령남씨]1457년[세조3] 무과에 장원급제.[유자광의 모함으로 주살됨] |
4] 최연소로 세자에 책봉된 인물은? |
영조의아들 사도세자는 2세에 세자책봉 되었으나 그만 뒤주속에 갖혀죽는 비운의 주인공이 |
되었다. 사도세자는 10세에 결혼하여 최연소 결혼기록도 가지고 있다. |
5] 최연소로 영의정이 된 인물은? |
세종대왕의 손자인 이준[임영대군의아들]으로서 28세때 영의정에 특서됨. |
6] 병조판서를 최연소로 역임한 인물은? |
권람의 사위인 남이가 27세에 병조판서가 됨. |
7] 홍문관의 수장인 대제학을 최연소로 역임한 인물은? |
만인의 존경의 대상이었던 벼슬의꽃 홍문관 대제학에 한음 이덕형이 31세에 올랐다 |
---------------------------------------------------------------------
조선왕조 최초의 기록들
|
1] 성리학 중심의 사회에서 과감하게 탈피하여 최초로 기독교 신자가 된 사람은? |
평북 의주 출신인 이성하로서 고종11년에 영국 선교사로부터 세례를 받고 한국최초의 |
기독교 신자가 되었다. |
2] 조선 최초의 천주교 세례교인은 누구인가? |
정약용의 매부인 이승훈이 북경에서 그라몽신부에게 세례를 받고 한국 최초의 천주교 |
신자가 되었다. |
3] 조선조 최초로 정승이 된 사람은? |
조선개국 일등공신 배극렴이다. 그는 이성계보다 10살이 많았는데 개국후 처음으로 |
좌정승[문하 좌시중]이 되었다. |
4] 조선왕조 도읍지 한성의 최초 한성판윤[서울시장]이 된 사람은? |
성석린이 1395년에 초대 한성판윤부사로 임명되는 기록의 보유자가 됐다. |
5] 과거급제를 하지 않고 영의정까지 오른 인물은? |
황희정승의 아들 황수신이다. 그는 조상의 음덕으로 벼슬길에 오른 대표적인 인물이다. |
6] 조선시대 최초로 일본에 대하여 상세하게 저술된 책은? |
신숙주가 일본방문을 한후 저술한 [해동제국기]이다. 일본내막을 상세하게 적은 책으로 |
최초의 일본안내서가 되었다. |
7] 족보는 고려시대에 이미 등장했으나, 현존하는 족보는 조선시대에 처음 만들어졌다는데.. |
세종5년에 간행된 문화유씨의 영락보라고 하는데 불행이도 전하지 않으며 |
현존하는 최초의 족보는 1476년의 안동권씨세보로 알려져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