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와 상식

비상시 어떻게 대처하나...철저한 대비...유비무환 (有備無患)

역려과객 2017. 9. 21. 15:17

 

 

 

차량 피란은 위험… 걸어서 2시간이내 안전지대 찾아두세요.  

 어느날 갑자기 공습경보 울린다면… 비상사태 대비 행동요령

 

서울 도심 한가운데에 적 공습이 시작되면 어떤 상황이 벌어질까. 수도(首都) 공격은 사실상 전면전으로 치달을 가능성이 크다. 과거 국지도발과는 차원이 다른 혼란이 벌어질 것이다. 그 상황을 쉽사리 상상하기 어려운 이유다.

 

대부분의 사람이 ‘막연한 대피’를 생각한다. 열에 아홉은 “진짜 무슨 일 나면 가족과 함께 피란할 것”이라고 말한다. 과연 생각대로 될까. 그렇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일단 평일에 공습이 이뤄지면 ‘가족 대피’는 불가능하다. 직장과 가정, 학교와 길거리에 가족들이 흩어져 있다가 난리 통을 겪을 것이다. 교통이 마비되면 집으로 가기도 어렵고 통신망이 파괴되면 연락도 불가능하다. 집에서도 수도와 전기가 끊겨 겪어본 적 없는 혼란을 마주할 것이다. 

공습 직후뿐 아니라 공습이 계속될 때 대응 요령이 더욱 중요한 이유다. 이 상황이 닥치면 정부는 군 작전과 별도로 도시 기능 복구와 주민 안전 확보를 위한 ‘매뉴얼’을 작동한다.

 

예비군은 부대로, 민방위는 지역으로

서울 종로의 한 회사에 근무하던 김운기 씨(34)는 민방위 대상이다.

1년에 한두 번씩 교육을 받지만 진짜 비상상황에 뭘 해야 할지는 정확히 알지 못한다.

 
적의 공격 상황에 따라 정부는 동원령을 내린다. 대상은 예비군 1년 차(전역 다음 해)부터 4년 차까지다.

2박 3일 동안 군사훈련을 받고 예비군을 운용하는 부대로 배치된다(동원 미지정자 제외). 나머지 예비군은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의 방어를 맡는다. 4년 차까지 예비군 병력만으로 부족하면 5년 차 예비군부터 순차적으로 전선에 투입된다. 난리 통이라고 동원령을 무시해선 안 된다. 응하지 않으면 징역 4년 6개월 이하의 처벌을 받는다.

예비군을 마친 40세 이하 남성은 민방위 신분이다. 비상상황 때 민방위대는 피해 복구 등 주로 지원 임무를 맡는다. 이를테면 통신업체는 통신시설 피해 복구, 언론사 기자 중 일부는 종군기자단이 된다. 민방위 대상이어도 섬이나 먼 시골 지역의 교사, 학생, 직업훈련생 등은 제외된다. 하지만 17세 이상이면 본인의 뜻에 따라 지원할 수 있다. 여성도 상관없다.

 

관련기사
•지진대비 훈련으로 단련된 일본의 철통 경보시스템

 

걸어서 2시간 이내 안전 장소로

서울 마포구에 사는 황정희 씨(66) 부부는 최근 전례 없는 북핵 도발 상황을 보며 걱정이 앞선다. 방송을 통해 유사시 가까운 지하시설로 대피해야 하는 건 알고 있다. 하지만 그 다음이 막막하다. 멀리 피란을 가야 할지, 근처의 대피소로 가야 할지 몰라서다.

단기간 공습을 피한 뒤 해당 지역에 추가 공습이 예상된다면 최대한 멀리 이동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실제 상황에서 이동은 쉽지 않다. 대중교통 운행은 중단되고 주요 도로는 대부분 군에서 통제할 것이다. 제한이 없어도 차량들이 쏟아져 나오면 도로 이용은 매우 어려울 것이다. 결국 도보를 이용한 대피가 불가피하다. 보통 사람의 체력과 피란 상황을 감안할 때 걸어서 2시간 정도 거리에 있는 안전한 장소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김영근 고려대 글로벌일본연구원 사회재난안전연구센터장은 “초기 피란은 공격 당한 지역에서 걸어서 2시간 이내 안전한 곳에 가는 것이 최선”이라고 말했다.

전국 대피소 위치는 행정안전부 앱 ‘안전디딤돌’이나

국민재난안전포털(www.safekorea.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제 생존배낭은 필수 

 

 

지난해 9월 경북 경주 대지진을 계기로 비상시 식량 및 물품을 담은 ‘생존배낭’이 화제가 됐다. 생존배낭에 무엇을 넣을지 잘 모르겠다면 일단 집에 있는 물건 중에서 덜 무겁고 오래 보관이 가능한 물품을 떠올려 챙기면 된다. 대표적인 것이 통조림이다. 최대 7년까지 보관이 가능한 것도 있다. 참치캔의 경우 상황에 따라 연료로 쓸 수 있다. 건빵과 국수 등도 열량이 높고 유통기한이 긴 식품에 속한다. 만약 식량이 부족해지면 정부에서 비축식량을 풀어 배급제를 실시한다.

 

통신망이 끊기는 경우를 대비한 라디오 손전등과 체온 유지를 위한 담요 등도 기본으로 챙긴다.

만에 하나 핵 또는 생화학 공격도 배제할 수 없다. 집에 소화기 한 대씩 놓듯이 이제 방독면을 가족 수대로 구비하는 것도 필요하다. 정부 관계자는 “방독면은 화생방용과 화재용으로 구분되는데 서로 혼용할 수 없다”며 “화생방용 방독면은 KS 규격번호 ksm6685를 반드시 확인해야 하고 시중에서 파는 곳이 많지 않아 온라인 소방안전제품 판매점에서 미리 구하는 게 낫다”고 말했다. 가격은 4만 원에서 6만 원 정도다.

 

수도·전기 끊겨도 버틸 수 있다.

수도와 전기시설은 주요 공격 타깃 중 하나다. 복구가 늦어질 경우 식수 공급 등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정부는 시중에서 식수를 구하는 것이 힘들어지거나 수도 시설이 마비되면 비상급수시설을 활용한다. 현재 전국에 비상급수시설 6000여 곳이 있다. 1일 기준 약 120만 t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하루 약 4700만 명이 사용할 양이다. 비상급수시설은 1일 1인 기준으로 식수 9L, 세탁 등에 쓸 수 있는 생활용수 16L를 공급한다. 각 지자체는 유사시 비상급수시설의 위치를 알려주도록 돼 있다. 지역에 따라서는 소방차량을 이용해 물을 공급한다.

발전시설 피해로 전기가 들어오지 않을 경우 최대한 이른 시간 내 복구하는 것이 현실적인 대안이다. 복구가 순차적으로 이뤄지더라도 군 또는 정부 시설물에 우선 공급한다. 일반 가정이나 대피시설은 갖고 있는 비상 조명기구에 기댈 수밖에 없다. 단전 피해가 클 경우 디젤 전기 기관차를 발전기로 사용할 수 있다. 디젤 전기 기관차는 디젤 연료를 사용해 돌릴 수 있는 발전기가 갖춰져 있다.

 

큰 병원보다 가까운 작은 병원으로

지병이 있거나 정기적으로 병원 치료를 받는 사람들도 비상상황 때 정보가 중요하다. 치료를 받을 수 있는지, 다니던 병원을 계속 가도 되는지 등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전쟁으로 동원령이 내려지면 의료기관들은 △군인 △공무원 △민간인 등 치료 대상에 따라 역할이 달라진다. 전시에는 무엇보다 전투에서 부상당한 병력을 치료하는 것이 가장 우선이다.

주요 대형 병원 100여 곳은 군 병원이 된다.

이 병원에 입원 중인 환자들은 민간 치료를 맡은 병원으로 옮기지만 중환자 등은 예외다.

민간인 치료를 담당하는 병원은 전국 800여 곳이 따로 지정된다.

현재 서울의 경우 군 치료 병원은 10여 곳, 민간 병원은 150여 곳이 지정돼 있다.

각 지방자치단체는 비상시 민간 치료가 가능한 병원이 어딘지 안내하도록 돼 있다.

만약 지정 의료기관이 전시에 정해진 역할을 하지 않거나 거부하면 비상대비자원관리법에 따라 처벌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