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다. 實生活에 重要한 漢字成語 (四字成語 辭典)

역려과객 2013. 7. 31. 15:49

" "로 始作하는 字
 

 

多岐亡羊(다기망양) 여러 갈래의 길에서 양을 잃음. = 망양지탄(亡羊之嘆)

多能鄙事(다능비사) 낮고 속된 일에 재능이 많음.

多多益善(다다익선) 많을수록 더욱 더 좋음.

多聞博識(다문박식) 많이 듣고 넓게 공부함. 견문이 넓고 학식이 많음을 말한다.

多事多難(다사다난) 여러 가지 일로 일이 많은데가 어려움도 많은 것.

多事濟濟(다사제제) 뛰어난 인재가 많이 있음. 濟濟(제제)ㄴㄴ 많이 있어 성한 모양.

多才多病(다재다병) 재주가 많은 사람은 흔히 몸이 약하며 잔병이 많음.

多錢善賈(다전선고) 밑천이 많으면 마음대로 장사를 잘 할 수 있음..

多情佛心(다정불심) 사물에 느끼기 쉽고 마음이 변하기 쉬우나 박정한 일을 못하는 성질.

斷簡零墨(단간영묵) 종이가 발명되기까지 종이 대신 대족과 먹 한 방울. 곧 종이쪽에 적힌 완전하지 못한 조각난 글월.

短褐不完(단갈불완) 가난한 사람이 제대로 차리지 못한 옷차림. 단갈(短褐)은 ?은 잠뱅이.

斷金之交(단금지교) 둘이 마음을 합하면 쇠라도 자를 수 있는 사이.

斷機之敎(단기지교) 학업을 중도에 그만 두는 것을 짜던 베의 날을 끊는 것과 같아 아무 보람이 없다는 뜻으로 지금까지 공들인 것이 수포로 돌아간다는 뜻. =맹모단기(孟母斷機), 단기지계(斷機之戒)

單刀直入(단도직입) 너절한 허두를 빼고 요점이나 본론을 바로말함.

簞食瓢飮(단사표음) 도시락 먹고 표주박으로 마신다. 즉 가난한 생활에서도 그 즐거움이 있다는 뜻.

簞食壺漿(단사호장) 대로 만든 그릇에 담은 음식과 항아리에 담은 물을 가지고 군대를 환영하는 모습. 곧 적국을 기꺼이 환영한다는 뜻.

丹誠無二(단성무이) 성실한 마음. 곧 진심으로 성심 성의로 일을 행하는 모습.

丹脣皓齒(단순호치) 붉은 입술에 흰 이를 가진 여자. 미인을 일컫는 말.

斷長補短(단장보단) 긴 것을 잘라 짧은 것을 메꿔서 들쑥 날쑥한 것을 곧게 함.

斷章取義(단장취의) 시를 해석하는 법으로 지은이의 본의에 거리낌없이 자기 소용으로 만듬.

簞瓢陋巷(단표누항) 도시락과 가난한 마음.

膽大心小(담대심소) 담력은 커야 하지만 마음을 쓰는데는 조심해야 한다는 말.

談論風發(담론풍발) 담화나 의론이 속출하여 활발히 행해짐.

담石池貯(담석지저) 저장한 극히 얼마 안되는 쌀이라는 뜻으로 여축이 적음을 이름.

堂構之樂(당구지락) 아들이 아버지의 사업을 계승하여 이루는 즐거움.

堂狗風月(당구풍월) 서당개 삼년이면 풍월을 읊는다. 무식한 사람도 유식한 사람과 같이 있으면 다소 유식해 진다는 말.

螳螂拒轍(당랑거철) 사마귀가 수레바퀴를 막는다는 뜻으로 자기 힘을 생각하지 않고 강적 앞에서 분수없이 날뛰는 것을 비유한 말.

黨利黨略(당리당략) 소속 정당, 당파만을 이롭게 하는 계략.

大姦似忠(대간사충) 간사한 사람의 하는 일은 매우 교묘해서 언뜻 보기에는 충성을 다하는 것 같다는 뜻.

大喝一聲(대갈일성) 큰소리로 꾸짖음.

大巧若拙(대교약졸) 훌륜한 기교는 조리어 졸렬한 듯 하다는 뜻.

大器晩成(대기만성) 큰 인물은 급작스럽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말.

對機說法(대기설법) 불교에서 설법 교화하는 데 있어서 상대방의 종교적 능력에 따라 이해하도록 법을 풀어 말함.

大同團結(대동단결) 복수의 단체나 정당, 당파가 서로 대립하는 작은 문제를 무시하고 하나의 목적을 위해서 일치 단결함을 이름.

大同小異(대동소이) ① 작게 보면 다르지만 크게 보면 같다는 말. ② 같은 것이 많고 다른것이 적다는 말. 즉 거의 똑같다는 말. 비)五十步百步(오십보백보)

戴盆望天(대분망천) 머리에 동이를 이면 하늘을 볼 수 없는데 보려고 한다. 즉 두가지 일을 겸행하고자 하나 할 수 없음을 뜻한다.

大逆武道(대역무도) 인륜에 크게 어긋난 도리를 무시한 행동.

大勇不기(대용불기) 큰 용기를 가진자는 함부로 남을 해지지 아니함.

大義滅親(대의멸친) 대의를 위해서 사사로움을 버림.

大義名分(대의명분) 인륜상의 중대한 의리와 도덕상 반드시 지켜야 할 사람의 행위의 한계.

大人君子(대인군자) 덕이 높고 훌륭한 사람.

大慈大悲(대자대비) 불교에서 말하는 부처의 광대 무변한 자비. 특히 관세음보살의 큰 자비를 칭송하여 이름.

刀鋸之餘(도거지여) 형벌을 당한 몸으로서 이 세상에 살고 있다는 말로 환관의 뜻으로 쓰임.

陶犬瓦鷄(도견와계) 흙으로 구워 만든 개와 기와의 닭. 짖지도 않고 때도 알리지 않음. 비슷하기는 겉모양 뿐으로 아무짝에도 쓸모 없는 것의 비유.

圖南之翼(도남지익) 붕새가 남해를 향하여 홰를 치려고 날개를 펴듯이 큰 사업을 꾀하는 큰 뜻을 이름.

跳梁跋扈(도량발호) 악인이 남의 것을 자기 것처럼 행세하며 멋대로 날뛰며 판을 치고 돌아다님.

徒勞無功(도로무공) 힘을 써도 공이 없이 헛수고만 한다는 말.

屠龍之技(도룡지기) 용을 죽이는 기술을 습득해도 용은 이 세상에 없으므로 세상에 쓸모없는 기술을 이름.

桃李成蹊(도리성혜) 훌륭한 인물은 아무 말을 안해도 그 덕을 섬기어 자연히 사람이 모여드는 것을 비유.道謀是用(도모시용) 길가의 집을 짓는데 길가는 사람에게 의논하면 사람마다 제 생각을 말하므로 의견은 일치하지 않는다. 더구나 그 의견을 들으면 집은 완성되지 않는다. 즉 일정한 주견이 없이 남에게 좌우됨의 비유.

道傍苦李(도방고리) 사람들에게 시달림을 받으며 길가에 서 있는 오얏나무. 사람에게 버림 받는 것을 비유한다.

道不拾遺(도불습유) 길에 물건이 떨어져 있어도 주워가지 않는다. 나라가 잘 다스려져 태평하고 풍부한 세상을 형용한 말.

屠所之羊(도소지양) 도살장으로 끌려가는 양이라 함이니, 다 죽게 된 불행한 처지에 있는 사람을 비유한 말.

桃園結義(도원결의) 삼국지에서 나온 말로, 유비, 관우, 장비가 복숭아나무 밑에서 형제의 의를 맺었다는 데서 나온 말.

道聽塗說(도청도설) 길거리에 떠돌아다니는 뜬 소문.

塗炭之苦(도탄지고) 진탕에 빠지고 숯불에 타는 고생.

獨不將軍(독불장군) 혼자서는 장군이 될 수 없다. 저 혼자 잘난체 하며 뽐내다가 남에게 핀잔을 받고 고립된 처지에 있는 사람.

讀書亡羊(독서망양) 책을 읽느라 양을 잃어버렸다. 마음이밖에 있어 도리를 잃어 버리는 것. 다른 일에 정을 뺏겨 중요한 일이 소홀하게 되는 것.

讀書三到(독서삼도) 독서를 하는데는 눈으로 보고, 입으로 읽고, 마음으로 해득해야 된다는 뜻.

獨書尙友(독서상우) 책을 읽어서 옛 위인이나 현인을 벗으로 삼음.

獨守空房(독수공방) 빈 방을 홀로 지킴. 남편과 아내가 함께 거처하지 못함. 즉 외로움을 표현하는 말.

獨也靑靑(독야청청) ① 홀로 푸르름, ② 홀로 높은 절개를 들어내고 있음.

東家食西家宿(동가식서가숙) 먹을 곳 잘 곳이 없이 떠도는 사람 또는 그런 짓

同價紅裳(동가홍상)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곧 같은 값이면 품질이 좋은 것을 가진다는 뜻.

同苦同樂(동고동락) 괴로움과 즐거움을 함께 함.

同工異曲(동공이곡) 같은 악공끼리라도 곡조를 달리한다는 말.

同氣相求(동기상구) 기풍과 뜻을 같이하는 사람은 서로 동류를 찾아 모인다.

東梁之材(동량지재) 한 집안이나 한 나라의 기둥이 될 만한 훌륭한 인재.

東問西答(동문서답) 동쪽가는 길을 문는데 서쪽가는 길을 가르처 줌. 문는 말에 대하여 아주 딴판인 엉뚱한 대답.

同門受學(동문수학) 한 스승 밑에서 같이 배움.

同病相憐(동병상련) 같은 병을 앓는 사람끼리 서로 가엾게 여긴다는 뜻으로, 처지가 비슷한 사람끼리 서로 돕고 위로함.

東奔西走(동분서주) 이리저리로 몹시 바쁘게 다님.

同聲異俗(동성이속) 막 태어난 아기는 동서고금, 우는 소리도 다 같건만 자라면 풍속과 언어가 다르다. 본래 인간의 성질은 같은데 자라난 환경과 교육에 의하여 변함을 이름.

同床異夢(동상이몽) 같은 잠자리에서 다른 꿈을 꿈. 곧 겉으로는 같이 행동하면서 속으로는 딴 생각을 가진다는 뜻.

冬扇夏爐(동선하로) 겨울의 부채와 여름의 화로. 아무 소용 없는 물건을 말한다.

同聲相應(동성상응) 같은 소리는 서로 응하여 어울린다. 의견을 같이하면 자연히 서로 합치게 된다는 의미.

同心之言(동심지언) 같은 마음에서 나온 말. 절친한 친구 사이

冬溫夏(동온하정) 겨울은 따듯하게 하고, 여름은 서늘하게 함. 어버이에게 효도함을 이름.

童牛角馬(동우각마) 뿔 안 난 송아지와 뿔난 말. 곧 사실 그대로 모습이 아님의 비유.

同而不和(동이불화) 겉으로는 동의를 표시하면서 내심은 그렇지 않음.

凍足放尿(동족방뇨) 언 발에 오줌 누기. 즉 눈 가리고 아웅이라는 말.

動天驚地(동천경지) 하늘을 움직이게 하고 땅을 놀라게 한다는 뜻에서 세상을 놀라게 함을 말함.

斗斛之祿(두곡지록) 얼마 안되는 소관의 녹을 이름.

斗南一人(두남일인) 천하에서 제일가는 사람을 이름.

杜門不出(두문불출) 자기 집에만 박혀 있으면서 밖(세상)에 나가지 않음.

得朧望蜀(득롱망촉) 농땅을 얻고 또 촉나라를 탐낸다는 뜻으로 인간의 욕심이 무한정함을 나타냄.

得魚忘筌(득어망전) 물고기를 잡고 통발을 잊어먹는다. 목적을 달성하고 나면, 그 목적을 위하여 사용한 물건을 잊어 버린다는 비유.

得意滿面(득의만면) 뜻을 이루어 기쁜 표정이 얼굴에 가득함.

得一忘十(득일망십) 한가지 일을 알면 다른 열까지 일을 잊어버림.

登高自卑(등고자비) 천리길도 한 걸음부터. 일을 하는 데는 반드시 차례를 밟아야 한다는 말.

登樓去梯(등루거제) 높은 누에 오르라고 하여 주고 그로 인하여 후에 괴로움을 받게 한다는 말.

登龍之門(등용지문) 황하 상류의 험한 곳. 산서성 하진현과 협서성 사이의 겨류. 이 급류는 물고기가 거의 가지 못하는데 잉어가 이 급류를 올라가면 용이 된다는 전설이 있음.곧 입신출세할 수 있는 관문이나 중요한 시험의 비유.

燈下不明(등하불명) 등잔 밑이 어둡다는 뜻으로. 가까이 있는것은 도리어 알아내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燈火可親(등화가친) 가을밤은 서늘하여 등불을 가까이 두고 글을 읽기에 좋다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