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조심 말조심을 이르는 속담.격언 ○
![]()
자기가 먼저 남에게 잘 대해 주어야 남도 자기에게 잘 대해 준다는 말. 말이 많음을 경계하는 말. 남에게 해를 입히려고 고자질을 하는 사람이
말과 글은 그 속뜻을 잘 음미해 보아야 한다는 말.
내용도 모르고 아느 체하다.
솔깃한 말로 남을 꾀어 난처한 처지에
아무리 비밀히 한 말도 누군가가
![]()
내가 해야 할 말을 남이 가로채어 한다.
미욱하고 고집스러워 도무지 알아듣지 못하는 사람과는 더불어 말해 봐야 소용없다는 말. [온 동네 사람을 말로만 때운다는 뜻으로] 실천은 하지 않고 모든 것을 말만으로 해결하려 함을 이르는 말.
가정에 말이 많으면 살림이 잘 안 된다는 말.
말만 잘 하면 어떤 어려움도 해결할 수 있다는 말.
성격이나 언행이까탈스러우면 남의 공격을 받게 된다는 말.
경우에 닿지 않는 말로 성가시게 군다는 뜻
되지 못한 자가 큰소리만 친다.
자기가 잘못하여 놓고 도리어
사람이 잘날수록 잘 난 체하거나 떠벌리거나
사소한 일을 하고선 무슨 큰일이나 한 듯이 당치도 앟은 일에 어수선하고 분주하게 떠들거나
일을 능히 처리할 수 있는 역량이 있는 사람은
말을 삼가야 함을 경계하는 뜻의 말. 비밀히 한 말이라도 새어 나가기
거짓말을 쉽게 잘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자랑이 지나치면 그 끝에 무슨 말썽이 생기기 쉽다는 말. 남의 말을 하자 마침 그 사람이 온다. [ 당사자가 없다고 함부로 흉을 보지 말라는 말.]
제 일은 젖혀 놓고 남의 일에만 참견함을 이르는 말.
정확히 아는 사람 앞에서 자기의 틀린 것을 고집한다는 뜻.
아무리 가까운 사이라도 말을
같은 내용의 말이라도 말하기 나름으로
먹을 것은 먹을수록 주나 말은 할수록 보태져, 걷잡을 수 없게 되는 것이니 말을 삼가라는 말.
사리에 맞지 않는 말을 싱겁게 하는 사람을
언제든지 말을 정직하게 해야 한다는 말.
거짓말을 천연스럽게 꾸며 대는 것을 욕하는 말.
입찬말은 죽어서나 하라는 뜻으로,
제가 한 말 때문에 죽을 수도 있으니,
우선 둘러대서 일을 해냈지만,
|
'바른말 고운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조심(口 箴(구잠) ~ 입을 경계함) (0) | 2014.11.01 |
---|---|
이름에 부적합한 "不用文字" (0) | 2014.10.31 |
우리말의 숫자와 물품별로 세는 단위 (0) | 2014.10.10 |
[맞춤법] 작은 실천, 우리말 바로 사용하기(바라다/바래다) (0) | 2014.09.26 |
감사(感謝)라는 말도 옛날부터 한국에서 쓰이던 말 (0) | 2014.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