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3대명주 꼽히는 '죽력고' 혼이 빚은 묵직한맛 '감동' 정읍 태인양조장 | ||||||||||||||||||
10리에 퍼지는 술향 덕에 술집에는 문패가 필요없다더니 아무리 둘러봐도 손바닥 만한 간판 하나 없다. 마당 한쪽에 가득 들어선 술독, 소줏고리, 옹기들만이 ‘술 빚는 집’ 임을 이야기한다. 전북 정읍시 태인면의 이 양조장은 ‘죽력고(竹瀝膏)’를 빚는 술도가다. 육당 최남선이 <조선상식문답>에서 평양의 감홍로, 전주의 이강고와 함께 조선 3대 명주로 꼽은 술이 바로 죽력고다. 녹두장군 전봉준이 일본군에 잡혀 몸을 상한 후 한양으로 압송되기 전 이 죽력고를 청해 먹고는 어혈을 풀고 기운을 차렸다고 전해진다. 마당의 평상에 걸터앉아 안주인이 내주는 차 한 잔 마시며 기다리니 전주에 나갔던 송명섭(51)씨가 돌아왔다. 전국에서 유일한 죽력고 담그기 기능보유자다. 무형문화재 제6-3호로 지정되기도 했다. 죽력고에 대해 물으니 안채에서 술병부터 들고 나온다. “이 술 석 잔을 마시지 않으면 죽력고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자격이 없다”며 잔을 따른다. 노르스름한 빛의 술은 진득하니 혀를 감싼다. 향의 진함과 맛의 묵직함은 그 어느 술보다 강했다. 32도의 높은 도수임에도 목넘김이 부드럽다. 송씨와 죽력고의 인연은 고부에서 한약방을 했던 외증조부로 올라간다. 외증조부는 치료에 도움이 될만한 술의 비방을 모아 치료보조제로 사용했다. 그 중 하나가 대나무 액(죽력)을 이용한 술 죽력고다. 이 죽력고 제조 비법은 송씨의 어머니를 통해 내려왔다. 죽력고는 대나무를 쪼개 항아리에 넣고 3일을 불 지펴 대나무액 죽력을 얻고, 20일 걸려 쌀과 누룩으로 빚은 술을 다시 소줏고리에 붓고 장작불로 8시간을 가열해 죽력에 잰 댓잎에 여과시켜 소주를 내려 만든다. ‘고’는 최고급 약소주에만 붙일 수 있는 술의 극존칭이다. 송씨는 “약 기운 강한 죽력고는 아무리 많이 마셔도 일정 정도 이상 취하지 않고, 다음날 아침에는 사우나를 한 듯 몸속 노폐물이 빠져나가는 느낌을 받을 정도로 몸이 가뿐하다”고 설명했다. 예전 술도가가 한참 잘 나갈 때는 인부를 18명이나 썼지만 지금은 단촐하게 송씨 부부만이 양조장을 꾸려나간다. 술은 추수를 끝낸 지금부터 농사일 시작되기 전인 3월까지만 빚는다. 자신의 땅에서 직접 농사지은 쌀로만 가지고 순수 전통방식으로 빚어내다 보니 1년에 생산되는 죽력고의 양은 100여 병에 불과하다. 예약을 한다 해도 쉽게 구할 수 없는 양이다. 이곳에서 나가는 공장도 가격이 700㎖ 1병에 2만2,000원이다. 포대기에 싸인 젖먹이 때부터 어머니가 새끼 손가락에 찍어 입에 넣어주던 술맛을 보고 자랐다는 송씨. “쌀 7잔을 고아야 1잔의 술이 나온다. 이토록 귀한 술을 함부로 마시고 막무가내로 취해서야 되겠느냐”며 품격있는 술마시기를 당부했다. 그는 누구든지 술의 제조법을 알고자 한다면 다 알려주겠다고 했다. “최남선이 조선 3대 명주로 꼽았다면 조선인 모두가 즐길 수 있어야 하질 않겠나. 죽력고는 내가 처음 만든 술이 아닌 우리 민족의 술”이라는 게 그 이유다. 태인양조장 (063)534-4018
|
'술에 관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와인 공부하기 (0) | 2014.08.08 |
---|---|
오늘은 말복 (0) | 2014.08.07 |
소주와 사랑의 공통점 (0) | 2014.07.25 |
술(酒)의 서사시 (0) | 2014.07.25 |
내 건강 망치고 죽게까지 만드는 나쁜 음주 습관 반드시 고치자 (0) | 2014.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