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세의 나이를 이른다 '옛부터 일흔이 넘는 사람은 드물다' 라는 뜻으로 쓰였다.
두보가 살던 시대는 '안록산(安祿山)의 난'으로 당나라 전체가 어지러울 대로 어지러웠다. 그 역시 난의 피해자로 반란군에 붙잡혀 곤욕을 치른 적도 있고, 난리통에 가족을 잃기도 하였다. 그 어두운 시기를 넘기며 그는 아름다운 시를 많이 남겼다.
이리저리 떠돌아다니던 두보는 47세 때 좌습유(左拾遺)라는 벼슬로 일생에 있어 유일한 관직생활을 1년 동안 하였다. 그때 그는 수도인 장안(長安)의 동남쪽 끝에 있는 연못인 곡강(曲江)가에서 몇 수의 시를 남겼는데, 그의 대표작 중 <곡강이수(曲江二首>라는 시가 있다.
조정에서 돌아오면 날마다 봄옷을 입혀
날마다 강가에서 한껏 취해 돌아오네.
술값 빚은 예사로 가는 곳마다 있지만
인생 칠십은 예로부터 드문 것이라[人生七十古來稀)
'인생칠십고래희'는 인생의 장수에 대한 욕망과 비애를 나타내고 있지만, 오늘날에는 고희가 흔하기 때문에 축하의 뜻으로 많이 쓰인다.
[출전] 두보(杜甫)의 시 <곡강(曲江)>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 .實生活에 重要한 漢字成語 (四字成語 辭典) (0) | 2013.07.26 |
---|---|
가 .實生活에 重要한 漢字成語 (四字成語 辭典) (0) | 2013.07.23 |
고사성어의 유래(29) 등용문(登龍門) (0) | 2013.07.19 |
고사성어의 유래(28) 개과천선(改過遷善) (0) | 2013.07.15 |
고사성어의 유래(27) 파경(破鏡) (0) | 2013.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