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의 잘못을 뉘우치고 새롭게 착한 사람이 된다는 뜻이다.
진(晋)나라 혜제 때의 일이다. 양흠(楊흠)이라는 곳에 주처(周處)라는 사람이 살았다. 그는 열 살 때 태수 벼슬에 있던 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후로 방탕한 생활을 하였다. 급기야는 그 포악한 성격으로 마을 사람들로부터 남산의 호랑이, 장교(長橋)에 사는 교롱(蛟龍)과 더불어 삼해(三害)라는 평을 듣기에 이르렀다.
스스로 깨달은 바가 있어 새사람이 되겠다는 각오를 한 그는 남산에 올라 호랑이를 죽이고. 죽을 고비를 넘기면서 장교의 교룡을 죽이고 마을로 갔다. 그러나 그를 반가이 맞아 주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실망하여 마을을 떠난 그는 동오에 가서 대학자 육기(陸機)와 육운(陸雲)을 만났다. 주처가 지난날을 털어놓자, 두 사람은 다음과 같이 격려해 주었다. "지난날의 잘못을 깨닫고 굳은 각오로 새롭게 착한 사람이 된다면[改過遷善] 자네의 앞날은 활짝 열릴 걸세."
그 격려에 힘을 얻은 주처는 그후 10여 년 동안 학문과 덕을 익혀, 마침내 대학자가 되었다.
[출전] 《진서(晋書)》 <본전(本傳)>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사성어의 유래(30) 고희(古稀) (0) | 2013.07.21 |
---|---|
고사성어의 유래(29) 등용문(登龍門) (0) | 2013.07.19 |
고사성어의 유래(27) 파경(破鏡) (0) | 2013.07.12 |
고사성어의 유래(25) 온고지신(溫故知新) (0) | 2013.07.10 |
고사성어의 유래(24) 기우(杞憂) (0) | 2013.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