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한도나 범위 밖의 것으로 여겨 무시하거나 문제삼지 않는 경우에 쓰는 말이다.
후한(後漢)의 초대 황제인 광무제(光武帝) 유수(劉秀)가 왕망(王莽)이 한(漢)나라를 멸망시키고 세운 신(新)나라의 군대를 격파하고 한나라 왕실을 재건한 다음, 여기저기서 세력을 떨치고 있던 반란군을 거의 제압했을 때의 일이다.
반란군 중에서 그때까지 항복하지 않는 것은 험준한 지세를 강점으로 하고 있는 서쪽 변방의 외효(외효), 그리고 촉 땅의 공손술(公孫述)뿐이었다.
고아무제에게 있어서는 그들이 눈엣가시 같은 존재였다. 그러나 지세가 워낙 험한데다가 군사들은 오래 계속된 싸움으로 몹시 지쳐 있었고, 두 곳을 치자면 장기전이 될 것이 뻔했기 때문에 쉽사리 토벌 결정을 내릴 수가 없었다.
그래도 중신들이 토벌을 고집하자, 광무제가 말하였다. "중토(中土)가 평정된 마당이니, 그들은 도외시해도 될 것이오. 좀 기다려 봅시다." 광무제는 때를 기다리며 전쟁에 지친 군사들의 마음을 다독거려 주었다.
기다린 보람이 있어, 마침내 외효가 죽고 그의 아들 외수군이 광무제에 항복해 왔다. "드디어 천하 평정의 기회가 왔다." 광무제는 그 동안 쉬면서 힘을 비축한 군사들을 독려하여 촉 땅을 침으로써 천하통일의 위업을 이루었다.
[출전] 《후한서(後漢書)》 <광무기(光武記)편>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사성어의 유래(33) 도원결의(桃園結義) (0) | 2013.10.25 |
---|---|
고사성어의 유래(32) 배수진(背水陣) (0) | 2013.10.21 |
하. 實生活에 重要한 漢字成語 (四字成語 辭典) (0) | 2013.09.25 |
파. 實生活에 重要한 漢字成語 (四字成語 辭典) (0) | 2013.09.13 |
타. 實生活에 重要한 漢字成語 (四字成語 辭典) (0) | 2013.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