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서비스도우미
숲길등산지도사 등 산림서비스 도우미를 고용하여 일자리를 창출하고,
국민에게 산림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누가 받을 수 있나요?
- 지원대상
- 신청일 현재 만 18세 이상으로 산림분야의 사회서비스일자리사업 지침에 해당하는 분을 지원합니다.
- 선정기준
- 숲생태관리인은 신청자가 많은 경우 취업취약계층, 부양가족수, 사업장소에서 근거리에 거주하는 자 또는 기존에 숲해설가, 숲생태관리인 활동 경력자 순으로 선발합니다.
- 숲길등산지도사는 지정된 산림교육 전문가 양성기관에서 숲길체험지도사 전문과정을 이수한 자(기존 숲길안내인 교육 이수자 포함, 등산학교의 등산교육 이수자 또는 산림 관련 대학 졸업자, 산림분야 자격증 소지자, 관련업무 경험자 및 GPS 기기 활용 가능자 등)를 대상으로 선발합니다.
- 산림휴양서비스매니저는 취업취약계층을 우선선발하며, 신청자가 많을 경우 부양가족 수, 사업 장소에서 근거리에 거주하는 자 순으로 선발합니다.
- 도시녹지관리원은 아래와 같은 자격을 갖추어야 선발합니다.
- 산림분야(조경 포함) 자격증 소지자, 임업훈련기관에서 기술교육을 이수한 자
- 임업 조경관련 고등학교 이상 졸업자(졸업 예정자 포함)
- 관련업종에 종사한 경력이 1년 이상인 자(영림단, 숲가꾸기 공공근로 등 경력자 포함)
- 기타 도시녹지관리원 활동에 적합하다고 인정하는 자
- 명상숲코디네이터는 아래와 같은 자격을 갖추어야 선발합니다.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한 산림, 조경, 식물분야 자격증 소지자로 해당 업종에서 2년 이상 근무경험이 있는 자
- 산림 및 명상숲 관련 업무에 2년 이상 종사하였거나 전문대학 이상 관련학과를 졸업한 자
- 기타 명상숲코디네이터 활동에 적합하다고 인정하는 자
- 수목원코디네이터는 아래와 같은 자격을 갖추어야 선발합니다.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한 산림, 식물분야 자격증 소지자
- 전문대학 이상의 관련학과(산림자원학, 조경학, 원예학, 식물학 등)를 졸업한 자
- 산림분야 또는 수목원/식물원에서 식물의 조성,관리 분야에서 2년 이상 종사한 자
- 기타 수목원코디네이터 활동에 적합하다고 인정하는 자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나요?
- 지원내용
- 인부임금으로 산림서비스 도우미에게 68,720원/일(도시녹지관리원, 수목원코디네이터, 숲생태관리인, 숲길등산지도사, 명상숲코디네이터, 산림휴양서비스매니저)을 지급합니다.
- 일급, 주급 또는 월급 형태로 지급이 가능하며, 사업참여자의 개인 통장에 입금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 4대보험료(국민연금, 산재/고용/건강보험료)를 지급합니다.
- 사용자가 4대 보험(자치단체장 등)에 의무적으로 가입하도록 조치(참여자의 본인부담금을 공제한 후에 임금 지급)
- 사회복지정책 확대 일환으로 시행하고 있는 4대 보험 가입의 불가피성 및 보험료 공제를 사전에 홍보, 4대보험 사업장 가입신고 및 보험료 납부절차 등은 관련기관을 통해 처리
- 교육훈련비를 지급합니다.
- 교육훈련 기간 중의 임금은 부대경비를 제외한 인부 임금을 지급
- 교육생에게 여비(교통비, 숙박비, 일비 등)를 지급
- 교육훈련비는 사업시행기관에서 교육훈련기관에 직접 지급
어떻게 신청하나요?
- 신청방법
- 시/군/구청에 방문하거나 우편으로 상담하고 서비스를 신청합니다.
- 지원절차
-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지원합니다.
-
- 1 초기상담 및
서비스 신청시/군/구청, 읍/면/동의 국유림은 지방산림청(국유림관리소), 사유림은 지자체(시/군/구)에서 초기상담하고, 서비스 신청
- 2 지원여부 심사
및 확정시/군/구청, 읍/면/동의 국유림은 지방산림청(국유림관리소), 사유림은 지자체(시/군/구)에서 지원여부를 심사하고, 지원대상자를 확정
- 3 서비스 지원
시/군/구청, 읍/면/동의 국유림은 지방산림청(국유림관리소), 사유림은 지자체(시/군/구)에서 대상자를 상대로 서비스를 지원
- 1 초기상담 및
아직 궁금한 것이 있어요!
- 문의처
- 북부지방청 산림경영과 ☎ 033-738-6281 전화걸기
- 남부지방청 산림경영과 ☎ 054-850-7751 전화걸기
- 서부지방청 산림경영과 ☎ 063-620-4661 전화걸기
- 산림과학원 연구기획과 ☎ 02-961-2573 전화걸기
- 산림품종관리센터 종묘관리과 ☎ 043-850-3345 전화걸기
- 국립수목원 연구기획팀 ☎ 031-540-2035 전화걸기
- 휴양림관리소 휴양경영과 ☎ 042-580-5538 전화걸기
- 서울 자연생태과 ☎ 02-2115-7560, 7563 전화걸기
- 부산 산림정책과 ☎ 051-888-4251, 4252 전화걸기
- 대구 공원녹지과 ☎ 053-803-4401~2 전화걸기
- 경남 산림녹지과 ☎ 055-211-4285 전화걸기
- 제주 녹지환경과 ☎ 064-710-6773 전화걸기
- 동부지방청 산림경영과 ☎ 033-640-8621 전화걸기
- 중부지방청 산림경영과 ☎ 041-850-4052 전화걸기
- 인천 공원녹지(조경)과 ☎ 032-440-3684 전화걸기
- 광주 공원녹지과 ☎ 062-613-4242~3 전화걸기
- 대전 푸른도시과 ☎ 042-600-3697 전화걸기
- 울산 녹지공원과 ☎ 052-229-3352, 3355 전화걸기
- 충북 산림녹지과 ☎ 043-220-3784 전화걸기
- 충남 산림녹지과 ☎ 041-635-4509 전화걸기
- 전북 산림녹지과 ☎ 063-280-2681 전화걸기
- 경북 산림녹지과 ☎ 053-950-2872 전화걸기
- 산림청 ☎ 1588-3249 전화걸기
- 세종시 산림축산과 ☎ 044-300-4411 전화걸기
- 경기 산림과 ☎ 031-8030-3562 전화걸기
- 강원 산림자원과 ☎ 033-249-3130 전화걸기
- 전남 산림산업과 ☎ 061-286-6631 전화걸기
- 산림교육원 산불훈련기획과 ☎ 031-570-7413 전화걸기
- 관련 사이트
- 서식/자료
- 근거법령
아래 사업은 본 사업과 중복해서 받을 수 없습니다.
위 복지서비스는 2020년도 기준입니다(산림청 도시숲경관과)
최근 수정일 2020-02-18
사례로 알아보기
'복지랑 장애우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양급여(보조기)-산재보험급여 (0) | 2020.08.18 |
---|---|
외국인근로자 등 의료지원 (0) | 2020.08.18 |
청년희망키움통장 (0) | 2020.08.10 |
지역공동체 일자리사업 (0) | 2020.08.10 |
사회적기업 일자리 창출사업 (0) | 2020.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