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주택 공급(공공분양 및 공공임대)
저소득층의 주거안정과 무주택자에게 내 집 마련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누가 받을 수 있나요?
- 지원대상
- 입주자모집공고일 현재 해당 주택건설지역(특별시·광역시·특별자치시·특별자치도 또는 시·군의 행정구역을 말함)에 거주하는 무주택세대구성원으로서 해당 세대의 소득 및 보유자산(토지, 건물 및 자동차)이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는 기준 이하인 사람을 지원합니다.
- 선정기준
- 전용면적이 60㎡이하인 공공주택의 경우,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100% 이하면 지원합니다.
- 생애최초 및 신혼부부 특별공급의 경우, 전년도 도시근로자가구 평균소득 100% 이하, 신혼부부 특별공급 중 맞벌이 부부는 도시근로자가구 평균소득 120% 이하이면 지원합니다.
- 노부모부양 및 다자녀 특별공급의 경우, 전년도 도시근로자가구 평균소득 120% 이하면 지원합니다.
- 공공주택 중 일반공급(공공분양은 전용면적 60㎡이하만 적용) 및 특별공급(신혼부부, 생애최초, 노부모부양, 다자녀가구)은 다음의 자산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해당 연도별 적용 금액은 입주자 모집 공고문 참고)
- 그 외의 공급유형은 소득기준과 자산기준이 없습니다.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나요?
- 지원내용
- 일정 소득 및 자산기준 이하의 가구에게 공공주택을 분양합니다.
- 5년이나 10년 동안 공공주택을 임대 받아 사용할 수 있고, 임대 계약이 끝나면 저렴한 가격으로 분양 받을 수 있습니다.
어떻게 신청하나요?
- 신청방법
- 한국토지주택공사, 지방공사(SH 공사, 경기도시공사 등)를 방문하거나 인터넷으로 신청합니다.
- 지원절차
-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지원합니다.
-
- 1 초기상담 및
서비스 신청 한국토지주택공사, 지방공사(SH공사, 경기도시공사 등)를 방문하여 상담하고 서비스 신청 - 2 사실조사 및 심사 한국토지주택공사, 지방공사(SH공사, 경기도시공사 등)에서 사실을 조사하고 심사
- 3 서비스 결정 한국토지주택공사, 지방공사(SH공사, 경기도시공사 등)에서 공공주택 분양 및 임대지원 결정
- 4 서비스 제공 한국토지주택공사, 지방공사(SH공사, 경기도시공사 등)에서 분양과 임대 제공
- 1 초기상담 및
아직 궁금한 것이 있어요!
- 문의처
- 관련 사이트
- 한국토지주택공사 http://www.lh.or.kr/
- SH공사 http://www.i-sh.co.kr
- 경기도시공사 www.gico.or.kr
- 서식/자료
- 근거법령
위 복지서비스는 2020년도 기준입니다(국토교통부 공공주택총괄과)
최근 수정일 2020-04-17
사례로 알아보기
'복지랑 장애우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촌주택 개량자금 지원 (0) | 2020.09.14 |
---|---|
버팀목대출보증 (0) | 2020.09.14 |
저소득층 에너지효율 개선(단열/창호/바닥시공 및 고효율 보일러 교체지원) (0) | 2020.09.07 |
납북피해자 지원 (0) | 2020.09.07 |
요양급여(보조기)-산재보험급여 (0) | 2020.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