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랑 장애우랑

주거안정 월세대출

역려과객 2020. 9. 21. 19:21

주거안정 월세대출

주택 상황의 급변으로 인해 주거 비용이 급증한
저소득 임차가구의 주거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월세 대출을 지원합니다.

상세히 보기 사례로 알아보기

복지서비스 간편검색

누가 받을 수 있나요?

  • 지원대상
    • 우대형의 경우 사회취약계층 수급자 중 무주택(세대원포함) 세대주인 자에게 지원합니다.
    • 일반형의 경우 부부합산소득 5천만원 이하인 자에게 지원합니다.
  • 선정기준
    • 우대형의 사회취약계층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취업준비생 : 졸업(고등학교, 대학교, 대학원)후 신청일 현재 만 35세 이하의 무소득자 & 부모 연소득 6천만원(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정의 가구 포함)이하
      • 희망키움통장 가입자
      • 사회초년생 : 취업 후 5년이내 만35세 이하인자 & 본인(배우자 포함) 연소득 4천만원 이하인자
      • 근로장려금수급자 : 대출신청일 기준 최근 1년이내 수급사실이 인정되는 근로장려금 수급자 중 세대주(세대주로 인정되는 자 포함)
      • 자녀장려금 수급자 : 대출신청일 기준 최근 1년이내 수급사실이 인정되는 자녀장려금 수급자 중 세대주(세대주로 인정되는 자 포함)
      • 주거급여 수급자 : 대출 신청일 현재 주거급여 수급자 중 세대주(세대주로 인정되는 자 포함)
    • 일반형의 사회취약계층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부부합산소득 5천만원 이하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나요?

  • 지원내용
    • 주거 안정을 위한 월세 대출을 지원합니다.
      • 대출 금리: 우대형 1.5%, 일반형 2.5%
      • 지원 한도: 월 40만원씩 2년간, 최대 960만원
      • 대상주택: 임차보증금 1억원 이하 및 월세 60만원 이하의 임차전용면적 85㎡이하(읍,면지역은 100㎡) 주택
        ※ 단, 무허가 건물 등 불법건물과 고시원은 제외하며, 1년 마다 은행에서 내방하여 실거주 여부를 확인
      • 상환방식: 2년 만기 일시 상환(4회 연장, 최대 10년 가능)

어떻게 신청하나요?

  • 신청방법
    • 국민주택기금 총괄 수탁은행(우리, 국민, 신한, 기업, 농협은행)에 방문하여 신청합니다.
    • 또는 주택도시기금 홈페이지(nhuf.milit.go.kr)에서 온라인 신청 가능합니다.
  • 지원절차
    •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합니다.
    • 1 서비스 신청

      은행 방문 또는
      주택도시기금 홈페이지 온라인 신청

    • 2 대상자 확인

      대상자 확인
      (대출심사 및 대출승인)

    • 3 서비스 보장

      신청 은행에서
      대출금 지원

아직 궁금한 것이 있어요!

위 복지서비스는 2020년도 기준입니다(국토교통부 주택기금과)

최근 수정일 2020-02-19

사례로 알아보기